메이크봇, 네 번째 정기 트렌드 리포트 발표


메이크봇이 2022 한국∙아시아 챗봇 트렌드리포트를 발표했습니다.

작년에 이어 네 번째 정기 트렌드 리포트입니다.

포스트코로나에서 위드코로나로 변화하여 정착됨에 따라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산업군의 니즈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유통, 금융, 보험 등을 포함하여 많은 업계가 편의성을 기반으로 한 AI 인공지능 챗봇을 도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메이크봇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 발맞춰 챗봇 시장의 흐름을 면밀히 파악하고 있고, 그에 따른 ‘챗봇 트렌드리포트’를 매년마다 발표하고 있습니다.

금번에는 특히 한국을 포함하여 일본, 싱가포르, 홍콩, 인도 등 총 5개국의 챗봇 발전 동향 등을 조사하여 ‘아시아 챗봇 트렌드리포트’도 발표하였습니다.

2022년 챗봇 트렌드리포트는 위드코로나 이후 비대면·비접촉 시대에 전 세계 다양한 산업과 방향성, 그리고 성장 가능성을 모색할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위드코로나가 정착되고 이후에 엔데믹이 오더라도 챗봇 비대면 서비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 중 20대가 가장 높았습니다. (10점 중 8.13점) 30대와 40대 역시 평균 7.7점으로 비슷한 비율로 이용에 대한 의향을 밝혔습니다.

이와 같이 모든 연령층에서 위드코로나 뿐만 아니라 엔데믹 시대가 오더라도 챗봇 비대면 서비스를 사용하겠다는 비율이 높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0대의 경우 83%, 30대의 경우 86%, 40대 이상의 경우 97%로 챗봇에 대해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대체로 챗봇 서비스를 인식하고 있었고, 그간 각 산업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챗봇이 도입됨에 따라 인식도가 확연하게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모든 연령대 대비 챗봇 서비스를 경험했다고 답변한 응답자 비율은 20대가 다른 연령대보다 약 10% 정도 높게 나타났습니다. 젊은 연령층일수록 챗봇 서비스 경험이 더 많고,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인식도가 높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특히 모든 연령대에서 챗봇 서비스를 경험해본 응답자가 과반수 이상으로 드러남에 따라 코로나19가 미친 영향이 크고,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현재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파악할 수 있는 대목이었습니다.

[메이크봇의 챗봇 서비스 고도화]

메이크봇은 ‘금융, 교육, 헬스케어, 항공’ 등 영역에 맞는 챗봇을 구축하고 있으며, 2018년을 시작으로 매년 트렌드리포트를 발간하여 챗봇 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뿐만 아니라 일본, 홍콩, 싱가포르, 인도 등 아시아 챗봇 트렌드리포트를 발간함에 따라 해외의 관심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메이크봇 김지웅 대표님은 “전국가적으로 펜데믹 상황을 겪으면서 각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가 찾아옴에 따라 챗봇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높아졌다” 라며, “다양한 산업에서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챗봇 서비스에 대한 발전을 도모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메이크봇의 리포트 페이지 report.makebot.ai 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련 내용을 담은 기사 리스트

< 국내 언론 >

  • [벤처스퀘어] ‘챗봇 트랜드리포트, 위드코로나 시대에 비대면 서비스 확대

https://www.venturesquare.net/856445

  • [파이낸셜뉴스] 챗봇 트랜드리포트① 위드코로나 정착, 챗봇 등 비대면 서비스 확대

https://www.fnnews.com/news/202206161504120432

< 해외 언론 >

  • [MarketWatch] Chatbot Industry Grows with Use of Contactless Services in COVID-19

https://www.marketwatch.com/press-release/chatbot-industry-grows-with-use-of-contactless-services-in-covid-19-2022-05-30

  • [DIGITAL JOURNAL] Chatbot Industry Grows with Use of Contactless Services in COVID-19

https://www.digitaljournal.com/pr/chatbot-industry-grows-with-use-of-contactless-services-in-covid-19

  • [FOX28] Chatbot Industry Grows with Use of Contactless Services in COVID-19

https://www.wpgxfox28.com/story/46598600/chatbot-industry-grows-with-use-of-contactless-services-in-covid19

  • [NEWSnet] Chatbot Industry Grows with Use of Contactless Services in COVID-19

https://www.yournewsnet.com/story/46598600/chatbot-industry-grows-with-use-of-contactless-services-in-covid19

챗봇으로 새로운 IT 세상을 열어가는  AI 산업의 혁신자
‘Chatbot Innovator’

언택트 시대, 떠오르는 AI 챗봇…메이크봇, ‘2021 코리아 챗봇 트렌드 리포트’ 발표

고객사마다 차별화된 솔루션을 기반으로 챗봇 플랫폼을 제공하는 메이크봇은 지난 26일 ‘2021 코리아 챗봇 트렌드 리포트’를 발표했다.

메이크봇은 2018년 첫 챗봇 트렌드 리포트를 발간하며 지속적으로 챗봇의 인식 변화와 챗봇 산업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모색해왔다. 특히 이번 리포트는 2020년에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로 인해 앞당겨진 비대면 시대가 올해 챗봇 산업에 주는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이후 23%의 응답자는 비대면 서비스만을 사용하여 쇼핑, 은행 등의 개인적인 업무를 해결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52%의 응답자가 최근 비대면 서비스를 8회 이상 사용해봤다고 답변했다. 이처럼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비대면 서비스를 경험하는 발판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활성화된 비대면 서비스 경험으로 인해 75%의 응답자가 챗봇에 대해 들어 본적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2018년 설문조사 결과보다 2배 높아 챗봇 인식이 대폭 증가되었음을 나타낸다.

또한, 모든 답변자는 코로나 이후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침투율과 관심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앞으로의 모든 산업군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촉진시키는 매개체가 되었다는 뜻을 나타내고 있다.

메이크봇은 코리아 챗봇 트렌드 리포트를 통해서 챗봇과 기업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고, 질문 답변 응답자의 과반수는 기업이 챗봇을 도입하는 것은 시기상 적절하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했으며 챗봇 사용 기업에 ‘디지털화된’ 이미지를 연상시킨다고 답변했다.

결론적으로 해가 거듭될수록 증가하는 비대면 서비스 니즈와 챗봇 사용율을 통해 지속적으로 챗봇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챗봇을 도입한다면 반복적인 업무를 빠르게 자동화를 시킬 수 있으므로 디지털화를 실현시키고자 하는 기업에 가장 적절한 해결책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편, 메이크봇은 항공/금융/유통/교육/헬스케어/사내챗봇 등 산업별 특화 챗봇을 구축하며 챗봇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최근에는 다국어 챗봇 솔루션을 중심으로 글로벌 기업까지 사업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이번 리포트는 아시아 5개국(싱가포르, 인도, 홍콩, 일본, 한국)을 선정하여 각 국의 챗봇 인식에 대해 조사하여 주목을 받고 있다. 리포트에 따르면 5개국 응답자의 66%가 ‘챗봇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들 중 85%는 지난 6개월 동안 챗봇을 사용해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처럼 아시아에서도 챗봇의 관심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메이크봇은 챗봇을 통해 다국어를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어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지난해 K-POP 최대 엔터 플랫폼 ‘위버스/위버스샵’과 한국의 최대 항공사인 대한항공의 글로벌 챗봇 서비스를 시작하여 해외 챗봇 시장에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처럼 메이크봇은 국내뿐만 아니라 많은 글로벌 기업과 챗봇 서비스를 확장해 나가고 있으며 웹사이트를 통해 챗봇 도입 문의 및 리포트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2HFZDGGFV

 

챗봇으로 새로운 IT 세상을 열어가는  AI 산업의 혁신자
‘Chatbot Innovator’

메이크봇, 세 번째 정기 트렌드 리포트 발표

메이크봇은 1월 26일 세 번째 2021 코리아아시아 챗봇 트렌드 리포트를 발표했습니다.

메이크봇은 2021년도 코로나 바이러스의의 영향권을 벗어나기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 세 번째 트렌드 리포트의 주제로 ‘코로나 바이러스’에 집중하며 2020년 한 해를 돌아보고 챗봇에 대한 인식과 침투율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또한, 올해는 메이크봇의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어 한국을 넘어 아시아 시장의 챗봇 트렌드를 알아보아서 더 뜻 깊은 리포트가 되었습니다.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이라는 추측 속에서 디지털화된 챗봇은 일자리를 빼앗는 경쟁자라는 편견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트렌드 챗봇 리포트에 의하면 챗봇은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는 것이 아닌 인간을 보조한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위의 결과 전 세계는 불확실한 전염병 대유행의 한가운데에서 사람들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언택트 기술로 쏠리는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고, 추후 비대면 서비스가 보편화될 시 지금의 고객들이 충성고객으로의 전환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다양한 산업군에서의 챗봇 니즈]

한편, 소비자들은 다양한 서비스에서 챗봇을 이용하기 원하기 때문에 더 많은 기능을 담은 챗봇이 앞으로의 챗봇 업계를 주도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이에 저희 김지웅 대표님께서는 “챗봇을 도입한다면 불필요하고 반복적인 업무가 빠르게 동화를 시킬 수 있고, 거부감 또한 적기 때문에 디지털화를 실현시키고자 하는 기업에 가장 적절한 해결책임을 제시한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메이크봇의 리포트 페이지 report.makebot.ai를 참조 해주시길 바랍니다.

관련 내용을 담은 기사 리스트

[국내 언론]

[해외 언론]

<영문>

  • Yahoo finance ‘Makebot Publishes 2021 Asia Chatbot Trend Report’

https://finance.yahoo.com/finance/news/makebot-publishes-2021-asia-chatbot-074200322.html

  • AP News ‘Makebot Publishes 2021 Asia Chatbot Trend Report’

https://apnews.com/press-release/business-wire/technology-business-corporate-news-[…]er-china-products-and-services-c81fed28ff464e4f8a9fad3982cbaa6e

<중문>

  • Yamnews ‘MAKEBOT發表《2021年亞洲聊天機器人趨勢報告》’

MAKEBOT發表《2021年亞洲聊天機器人趨勢報告》 | 蕃新聞 (yam.com)

<일문>

  • Jiji ‘Makebot、「2021 アジアチャットボットトレンドレポト」を発表’

https://www.jiji.com/jc/article?k=20210126006197&g=bw

챗봇으로 새로운 IT 세상을 열어가는  AI 산업의 혁신자
‘Chatbot Innovator’

메이크봇, 챗봇 동향 발표…업계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AI 챗봇, 올 4분기 ‘2019 챗봇 트렌드리포트’ 발표 예정…’사용자 동향으로 내다보는 발전 방향’ 모색]

인공지능(AI)의 발전 속도가 눈부시다. 일상에 파고든 인공지능 로봇을 쉽게 접할 수 있는 형태는 채팅로봇인 ‘챗봇(ChatBot)’이다.

챗봇은 각종 고객만족(CS) 서비스 분야에 투입돼 업무 효율을 개선하고 있다. 이제는 단순 FAQ(상담집)를 넘어 직접 업무를 처리하는 단계까지 도달했다. 도입 분야가 △금융 △의료 △학술 △가전 △쇼핑 등으로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어 이용자수가 급증하는 추세다.

이에 AI 챗봇 전문기업 ㈜메이크봇은 국내 최초로 챗봇 사용자 동향을 심층 분석하는 ‘챗봇 트렌드리포트’를 매년 발표하고 있다.

메이크봇 2018 챗봇 트렌드리포트에 따르면, AI 챗봇은 전 연령대가 두루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60대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66.6%가 “챗봇을 접했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10명 중 7명 이상인 78.1%가 “챗봇을 접했다”고 답해 주요 이용자 연령층임을 확실시 했다. 외에도 30대(72.7%), 40대(55.5), 50대(53.8%)도 상당수가 챗봇을 접해봤다고 답했다. 또한 60대 이상 응답자 45.5%도 “챗봇을 안다”고 밝혔다. 신(新)기술의 주된 사용자 연령대가 청년층이라는 인식을 감안하면 꽤나 반전인 결과다.

‘챗봇을 생각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에 대한 질문에는 ‘인공지능 로봇’이 60.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채팅’(24.8%)과 ‘메신저’(12.0%)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50대 응답자 다수가 인공지능 로봇을 선택했으며 채팅과 메신저는 20대에서 높게 나타나는 등 연령에 따른 챗봇에 대한 인식 차이가 드러났다.

챗봇 경험자가 밝힌 ‘이용한 챗봇 서비스 종류’는 “간단한 질문 해결”이 77.4%로 압도했다.

챗봇과의 대화 경험에 대한 평가에는 48.1%가 “재미있는 경험”이라고 답했다. 이어 25.5%가 “전화보다 빠르고 편했다”는 보기를 선택했다. 이를 통해 챗봇 형태의 정보제공이 △흥미성 △신속성 △편의성을 동시에 만족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물론 챗봇 서비스에 만족하지 못했다는 답변도 일부 나왔다. 응답자 11.8%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받았다”고 답했다. 기타 답변으로는 “신뢰하기 어렵다”, “정확한 답변을 받지 못했다”, “진부하고 단순한 답변” 등 부정적인 반응도 있었다.

이는 챗봇 서비스가 개선돼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사용자는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답변과 참신한 언어로 구성된 개인맞춤형 정보제공을 원한다.

아울러 앞으로 경험해보고 싶은 챗봇 서비스를 묻는 질문에는 34.8%가 “환불 등 업무처리 서비스”라고 답했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챗봇의 역할이 단순 문의나 답변이 아닌, 실질적인 업무처리 기능임을 의미한다.

이에 메이크봇은 분야별 ‘업무처리형 챗봇’을 구축했다. 이는 고객이 챗봇을 통해 필요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다. 제공 기업은 24시간 무인 운영을 통해 업무 효율을 높이고, 사용 고객은 시·공간 제약 없이 원하는 업무를 처리할 수 있어 편리하다.

메이크봇은 금융업계를 시작으로 업무처리형 챗봇 도입분야를 확대하고 있다. 금융업계에는 국내 최초로 대출 신청·증명서 발급 등 단순조회를 넘어 실제 업무를 처리하는 챗봇을 선보였다.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기능특화 챗봇을 도입, △항공권 예매 △고객센터 접수 △이용예약 △근태관리 △사내 업무 처리 △구매 주문(발주) 등 실질적인 업무를 수행하며 AI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메이크봇 김지웅 대표는 “AI 챗봇 도입분야와 이용자수가 급증했지만, 사용자 입장에서 바라보는 챗봇의 모습은 간파하기 어려웠다”며 “사람이 빠진 기술은 의미가 없고, 기술 발전은 사람을 향해야 한다”고 트렌드리포트 발간 의도를 밝혔다.

그는 이어 “사용자가 원하는 챗봇은 단순 FAQ가 아닌 실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유용한 로봇’”이라며 “앞으로도 심층적인 동향 분석을 통해 사용자 친화적인 챗봇을 구현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메이크봇은 올 4분기에 ‘2019 챗봇 트렌드리포트’를 발표할 예정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8&aid=0004303138

챗봇으로 새로운 IT 세상을 열어가는  AI 산업의 혁신자
‘Chatbot Innovator’